스택 2

[백준] 10773번: 제로 (JAVA)

문제: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0773문제 접근스택에 있는 데이터의 합을 answer이라 할 때, 문제에서 알 수 있는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:0이 아닌 수가 들어온 경우: 스택에 넣으며(push), answer에 더한다.0이 들어온 경우: 가장 최근에 넣은 값을 빼며(pop), answer에서도 뺀다.저 같은 경우에는 알고리즘 별로 풀기에서 찾은 문제라, 스택을 이용하여 푸는 문제임을 바로 알았습니다. 하지만 혹시라도 코딩테스트를 풀 때 "가장 최근에 넣은 값을 뺀다." 라는 문장이 있으면 스택을 사용해야겠구나! 라고 생각하시면 될 거 같습니다.전체 코드import java.util.*;import java.io.*;public class Main { public..

[백준] 9012번: 괄호 (JAVA)

문제: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9012문제 접근이러면 안되지만 알고리즘 분류가 자료구조, 문자열, 스택으로 되어 있어서.. 스택을 사용하여서 풀면 되겠구나 라고 생각했습니다 ㅎㅎ;; 먼저 스택이란 데이터를 하나씩 쌓아 올린 형태의 자료 구조로, 가장 나중에 들어온 데이터가 가장 먼저 나가는 후입선출(Last In Fisrt Out)을 구조입니다. 스택의 활용 예시로는 웹 브라우저 뒤로 가기, 문서 작업에서 ctrl+z 등이 있습니다. 그래서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이 스택을 적용했습니다:문자가 '(' 이면 스택에 넣는다.문자가 ')' 이면 스택이 비어있는지 검사한다.만약 비어있으면 ')'를 스택에 넣고 break를 사용하여 for문을 빠져 나간다 (스택이 비어있으면, '..